출처 - SLR클럽

 

출처 -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1483_2892.html

아빠가 모처럼 집에서 아이들과 놀아주는데 레슬링을 한답시고 쿵쾅거리며 집을 온통 소란스럽게 만든다. 엄마는 짜증이 날 수 있겠지만 자녀를 위해서는 이런 소란은 참아야 할 것 같다.

아빠가 자녀와 놀아줄 때 몸을 부대끼며 과격하게 놀아주는 것이 어린이 정서 발달에 크게 도움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뉴캐슬 대학 ‘아빠와 가족 연구 프로그램’의 리차드 플레처 연구원은 아빠의 과하다 싶은 놀이가 자녀의 정서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30개월~5세 아이를 둔 30 가정을 대상으로 ‘아빠 양말 빨리 벗기기’ 등 과격한 놀이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과격한 놀이는 아이의 신체 발달뿐 아니라 감정과 생각을 조절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또 아빠와 구르며 하는 시끌벅적한 놀이가 주는 효과는 아이가 딸이든 아들이든 상관없이 비슷했다. 

연구진은 아빠와 더불어 과격한 놀이를 하면 성공했을 때 성취감의 큰 것이 장점이다. 현대 아동 심리학은 아이가 ‘자아 존중감’을 느꼈을 때 경쟁력이 아주 높아진다고 평가한다. 이런 자아 존중감은 아이들이 ‘내가 해냈다’는 성취감을 느낄 때 길러진다. 

아빠와 부대끼는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자기보다 ‘거대한’ 상대를 물리쳤다는 큰 성취감을 쉽게 맛본다. 아빠와 아이의 과격한 놀이는 단순한 시간 때우기를 넘어 아이들의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승부에서 아빠한테 지더라도 아이들은 ‘승리하기 위해서는 더 노력해야 하는구나’라고 깨닫게 된다. 

플레처 연구원은 “아빠와 과격한 놀이를 시켜보면 아이들은 이기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는 것을 볼 수 있다”며 “이런 과정 자체가 2~5세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매우 좋은 효과를 낳는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17일 미국 ABC방송 뉴스 온라인 판 등에 보도됐다. 
나는 내가 아닙니다. 
아내 앞에서 나는 나를 내 맘대로
할 수 없는 아내의 남편입니다. 

명세서만 적힌 돈 없는 월급 봉투를 
아내에게 내밀며 내 능력 부족으로 
당신을 고생시킨다고 말하며 겸연쩍어하는 
아내의 무능력한 남편입니다.


세 아이의 엄마로 힘들어하는 
아내의 가사일을 도우며 
내 피곤함을 감춥니다.

그래도 함께 살아주는 아내에게 
고마움을 느낍니다. 

나는 내가 아닙니다. 
나는 아내의 말을 잘 듣는 
착한 남편입니다.


나는 내가 아닙니다. 
아이들 앞에서 나는 나를 내 마음대로 
할 수가없는 세 아이의 아빠입니다. 

요것 조것 조잘대는 막내의 물음에 
만사를 제쳐놓고 대답부터 해야하고 이제는 
중학생이 된 큰놈들 때문에 
뉴스볼륨도 숨죽이며 들어야 합니다.


막내의 눈 높이에 맞춰 놀이 동산도 가고 
큰놈들 학교 수행평가를 위해 자료도 찾고 
답사도 가야합니다. 


내 늘어진 어깨에 매달린 무거운 아이들.. 
유치원비, 학원비가 나를 옥죄어 와서 
교복도 얻어 입히며 외식 한 번 
제대로 못하고, 생일날 케이크하나 꽃한송이 
챙겨주지 못하고.. 
초코파이에 쓰다만 몽땅 초에 촛불을 켜고. 
박수만 크게 치는 아빠.. 
나는 그들을 위해 사는 아빠입니다. 


나는 내가 아닙니다. 
어머님 앞에서 나는 나를 내 마음대로
할 수가 없는 어머님의 불효자식입니다. 

시골에 홀로 두고 떨어져 있으면서도 
장거리 전화 한 통화에 아내의 눈치를 살피는 
불쌍한 아들입니다. 


가까이 모시지 못하면서도 생활비도 
제대로 못 부쳐드리는 불효자식입니다. 
그 옛날 기름진 텃밭이 무성한 
잡초밭으로 변해 기력 쇠하신 
당신 모습을 느끼며 주말 한번 찾아 뵙는것도 
가족 눈치 먼저 살펴야 하는 나는 
당신 얼굴 주름살만 늘게하는 어머님의 
못난 아들입니다. 


나는 내가 아닙니다. 나는 나를 내 마음대로 
할 수가 없는 40대 직장 (중견) 노동자입니다. 

월급 받고 사는 죄목으로 마음에도 없는 
상사의 비위를 맞추며 목구멍까지 올라오는 
말도 삼켜야합니다. 


정의에 분노하는 젊은이들 감싸안지도 못하고 
그냥 그렇게 고개 끄떡이다가 고래 싸움에
내 작은 새우 등 터질까 염려하며 
목소리 낮추고 움츠리며 사는 
고개 숙인 40대 남자..


나는 내가 아닙니다. 
나는 내가 아닙니다. 
집에서는 직장 일을 걱정하고 
직장에서는 가족 일을 염려하며.. 


어느 하나 내 마음대로 할 수가 없는.. 
엉거주춤, 어정쩡, 유야무야한 모습. 
마이너스 통장은 한계로 치닫고 월급날은 
저 만큼 먼데 돈 쓸 곳은 늘어만 갑니다. 

포장마차 속에서 한 잔 술을 걸치다가
뒷호주머니 카드만 많은 지갑 속의 없는 
돈을 헤아리는 내 모습을 봅니다. 


나는 내가 아닙니다. 
나는 가장이 아닌 남편, 
나는 어깨 무거운 아빠,
나는 어머님의 불효 자식. 
나는 고개 숙인 40대 직장인,
어느 것 하나 제대로 껴안을 수 없는 
무능력한 사람이어도 
그들이 있음으로 나는 행복합니다. 
그들이 없으면 
나는 더욱 불행해질 것을 알기 때문에 
그들은 나의 행복입니다. 


나는 나를 내 마음대로 할 수가 없지만, 
그래도 나는 내가 나일 때보다 더 
행복한 줄 아는 40대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