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차례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
 

영남 ·호남 지방에서는 차사()라고 한다. 차례는 원래 다례()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다례라 하면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를 가리킨다. 또한 차례 자체도 지방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정월 초하룻날과 추석에만 지내는 것이 관례로 되었다.

옛날에는 정초에 차례를 지낼 때 ‘밤중제사(또는 중반제사)’라 하여 섣달 그믐날 밤 종가()에서는 제물과 떡국을 차려놓고 재배() ·헌작() ·재배한 다음, 초하룻날 아침에 다시 차남 이하 모든 자손이 모여 메를 올리고 차례를 지냈다. 모시는 조상도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4대를 대접하였으나 지금은 가정의례준칙에 의하여 조부모 ·부모의 2대만 제사지낸다. 사당()이 있는 집에서는 사당에서 지내고 기타 가정에서는 대청이나 안방에서 지내며 차리는 음식은 정초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기본으로 하고 과일 ·포 ·탕 ·식혜 ·어적 ·산적 ·나물 ·전 ·편 ·국 ·메 등을 마련한다. 제사는 먼저 제물의 진설이 끝나면 장자()가 재배하고 헌작한 다음 메를 올린다. 올린 메에 수저로 자의 자국을 낸 다음 45 ° 각도로 꽂고 일동이 재배한다.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다음 숭늉에 밥 3숟가락을 만다. 메에 뚜껑을 덮은 다음 차남이 아헌(), 3남이 첨작한 후 일동 재배하는 것으로 끝낸다.

 

추석 차례 상차림법

 1열 : 시접(숟가락 담는 대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메를 올린다.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의 머리는 오른쪽을 향하게 한다.
3열 : 고기탕, 생선탕, 두부탕 등의 탕류를 놓는다.
4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 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
5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배 등의 과일과 약과, 강정
.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오른쪽.

  • 건좌습우(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 접동잔서(?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습니다.
  • 좌반우갱(左飯右羹) : 메(밥)는 왼쪽에, 갱(국)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 남좌여우(男左女右) :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로 모십니다.


    *차례음식 만들때 주의점

    1. 고춧가루, 마늘 양념은 하지 않는다.
    2. 국물있는 음식(탕, 면, 식혜)는 건지만 쓴다.
    3. '치' 자가 들어간 생선(꽁치, 갈치, 삼치), 비늘있는 생선(잉어)는 쓰지 않는다.
    4. 붉은 팥은 안쓰고 흰고물로 쓴다.
    5. 복숭아는 쓰지 않는다.


    *차례지내는 순서

    진설(進設)
    북쪽(방위상 북쪽을 뜻하나 제사를 모시는 장소의 형편상 북쪽을 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신위를 모시는 방향을 북쪽이라 함)에 병풍을 치고 병풍 앞에 교의(神主나 혼백상자를 모신 의자)를 모신 다음 제사 상에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립니다. 제수는 간소하게 하되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을 몇 가지를 더 곁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진설이 다 되면 고인의 사진을 교의나 제사상에 모시고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병풍 앞면에 붙입니다.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주는 꿇어 앉아 향을 향로에 꽂고 재배합니다. 왼쪽 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사가 술을 따르고, 제주는 모사 그릇에 세번에 나누어 모두 따릅니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주어 제자리에 놓게 하고, 제주는 재배합니다.
    참신(參神)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재배합니다.
    진찬(進饌)
    추석 차례에는 송편(혹은 메(밥))을 제상에 올립니다.
    헌다(獻茶)
    왼쪽 집사로부터 잔을, 오른쪽 집사로 부터 술을 받아, 먼 조상순으로 술을 올립니다.
    개반(開飯)
    집사가 떡국그릇의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립니다. 순서는 좌측부터 조부 조모순이며, 가정의례준칙에서는 부모와 조부모등 2대 봉사만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삽시(揷匙)
    집사가 시접(수저를 놓는 빈 대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 위에 가지런히 걸쳐 놓습니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습니다. 흔히 젓가락을 세번 굴리고 여기저기 제물 위에 올려 놓기도 하지만 시접 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제주는 재배하며,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시는 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기립니다.
    철시복반(撤匙復盤)
    떡국 그릇의 뚜껑을 덮고 수저를 거두어 세 번 굴리고 시접에 놓습니다.
    사신(辭神)
    참가자 모두가 재배를 올리고 지방을 향로 위에서 사릅니다.
    철상(撤床)
    모든 제사 음식을 물리는 것을 말하며, 제상의 위쪽에서 부터 다른 상으로 공손히 옮겨 물립니다.
    음복(飮福)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차례는 끝나게 됩니다.



    *절하는 방법

    남자 절하는 방법
    1 공수하며 선다.
    2 두 손은 바닥을 향해 뻗어 바닥을 짚고 두 무릎을 세워 웅크려 앉는다.
    3 한 발씩 무릎을 꿇고 앉은 후 이마가 손등에 닿도록 깊숙이 숙여 절을 한다.
    4 잠시 머문 후 상체를 들며, 오른발을 세운 다음 두 손을 오른 무릎 위로 스치면서 일어난다.
    5 공수하면서 고개를 들고 웃음을 짓는다.
    6 앉거라 명하시면 옆으로 물러나는데 오른쪽으로 향하면 오른발부터 물러나고, 왼쪽으로 향하면 왼발부터 물러서서 무릎을 꿇고 앉는다.


    여자 절하는 법
    1 공수하며 선다.
    2 두 손을 어깨 높이로 들고 이마를 손등에 댄 후 한발씩 무릎을 꿇고 엉덩이를 내린다.
    3 45도 정도로 고개를 숙이고 잠시 그 상태로 머문다.
    4 상체를 펴고 엉덩이를 든 다음 한 발씩 들어 바로 선다.
    5 공수하면서 고개를 들고 웃음을 짓는다.
    6 앉거라 명하시면 남자와 같은 방법으로 물러나서 앉는다.

  • + Recent posts